 |
|
 |
 |
제주대학교 기계공학과 교수 및 학생들이 당 센터를 견학하여 대형풍동실험시설을 견학하고 바람을 체험하는 시간을 가졌다. 풍동실험 모형이 제작되는 과정에 대한 많은 질문이 있었으며, 환경 및 기타 기계 구조물 풍하중 평가에 대한 관한 연구에 큰 관심을 보였다. |
 |
|
 |
일본 기타큐슈 대학의 교수 및 학생들이 당 센터를 견학하여 시설을 견학하고 실제 바람을 체험하는 시간을 가졌다. 기타큐슈 대학은 전북대학교 공대와 자매결연 관계를 계속 이어오고 있으며, 이에 매년 전북대학교 공과대학과 대형풍동실험센터를 방문하여 뜻깊은 교류의 장을 펼치고 있다. |
 |
|
 |
대형풍동실험센터 연구진들이 다수의 국내외 학술대회에 참가하여 그동안의 연구 성과를 발표하였으며, 풍공학회 학술대회 논문 우수상을 2편 받는 쾌거를 이루었다. 참석한 학술대회 및 발표 논문은 아래와 같다 |
1) 제 22회 한국풍공학회 학술발표대회
일시 : 2019년 5월 24일
장소 : 충북대학교 토목공학관
논문 (4편) : 해상 풍력 기상탑의 파단 원인 분석, 강풍시 비산물의 비행 특성에 관한 연구, 공탄성 불안정성을 이용한 전자기 풍력 에너지 수확, 극치 풍속의 비정상성 빈도해석 |
 |
2) The 14th China-Japan-Korea International Workshop on Wind Engineering
일시 : 2018년 5월 26일
장소 : Hangzhou, China
논문 (1편) : A Preliminary Study on the Wind-Borne Debris Damage under Strong Winds |
 |
|
 |
 |
 |
실 험 명 |
|
실험기간 |
|
실험목적 |
- 총 6개동의 공동주택 건축물의 풍하중 실험을 통한 풍하중 및 진동변위 성능검증을 목표로함
|
사용장비 |
- 풍동유로, DC송풍기, 턴테이블, 풍속계(피토), 5분력계
|
실험방법 |
- 풍하중 및 진동변위 성능 검증을 위해 상사조건을 만족시킨 상태에서 0-360도 풍향각에 대해 10도 간격으로 총 35개의 풍향각에 대해 풍하중 실험을 수행함
|
|
|
 |
|
 |
실 험 명 |
|
실험기간 |
|
실험목적 |
|
사용장비 |
- 풍동유로, DC송풍기, 풍속계, 드론 안전고리
|
실험방법 |
- 저항풍속
- 풍속 10m/s에서 비행안정성이 확보되는지 여부 점검
- 최대속도
- 풍속 12.5m/s에서 비행안정성이 확보되는지 여부 점검
|
|
|
 |
|
 |
실 험 명 |
|
실험기간 |
|
실험목적 |
- 총 2개동의 공동주택 건축물의 풍하중 실험을 통한 풍하중 및 진동변위 성능검증을 목표로함
|
사용장비 |
- 풍동유로, DC송풍기, 턴테이블, 풍속계(피토), 5분력계
|
실험방법 |
- 풍하중 및 진동변위 성능 검증을 위해 상사조건을 만족시킨 상태에서 0-360도 풍향각에 대해 10도 간격으로 총 35개의 풍향각에 대해 풍하중 실험을 수행함
|
|
|
 |
|
 |
실 험 명 |
|
실험기간 |
|
실험목적 |
- 총 1개동의 공동주택 건축물의 풍하중 실험을 통한 풍하중 및 진동변위 성능검증을 목표로함
|
사용장비 |
- 풍동유로, DC송풍기, 턴테이블, 풍속계(피토), 5분력계
|
실험방법 |
- 풍하중 및 진동변위 성능 검증을 위해 상사조건을 만족시킨 상태에서 0-360도 풍향각에 대해 10도 간격으로 총 35개의 풍향각에 대해 풍하중 실험을 수행함
|
|
|
 |
|
 |
실 험 명 |
|
실험기간 |
|
실험목적 |
- 풍력터빈 축소모델 작동 검증
- 풍력터빈 운전상태 변화에 따른 후류 변화 측정
|
사용장비 |
- 풍동유로, DC송풍기, 턴테이블, 트레버스, 풍속계(hot-wire), 제어알고리즘_강원대
|
실험방법 |
- 실제 대형 풍력터빈과 동일한 제어 알고리즘으로 작동되는 풍력터빈 축소 모델을 이용, 풍력터빈의 상태 변화(출력지령 변화에 따른 블레이드 피치각, 발전기 토크, 요 각도)에 따른 후류 변화 측정
- 풍력터빈의 후류는 강원대학교에서 제공하는 Hot-wire(DANTEC사)와 풍동에 설치되어있는 traversing system을 이용하여 측정함
- 후류의 측정은 Hot-wire를 허브 높이로 고정한 상태에서 횡방향으로 로터 회전직경의 약 1.5~1.0배 떨어진 지점부터 일정거리 간격으로 움직이면서 풍속의 변화를 측정함
|
|
|
 |
|
 |
실 험 명 |
|
실험기간 |
|
실험목적 |
- 내풍안정성을 만족하는 대상 교량의 단면 형상을 찾기 위하여 실험
|
사용장비 |
- 소형풍동, 영각조절장치, 풍속계(피토), 스프링
|
실험방법 |
- 진동실험 수행
- 설계풍속을 만족하는 내풍 단면 형상을 찾기 위함
- 페어링 장착, 그라우팅 비율 조정을 통하여 단면의 형상을 변화시킴
- 풍속에 따른 진동실험 측정
|
|
|
 |
|
 |
실 험 명 |
|
실험기간 |
|
실험목적 |
|
사용장비 |
- 풍동유로, DC송풍기, 턴테이블, 풍속계(피토), 광학식변위계
|
실험방법 |
- 차량용 삼각표지판의 안정성 여부 확인
- 기류조건: 등류
- 실험조건: 풍속 18m/s 미끌림, 전도, 뒤틀림, 경사도 확인
|
|
|
 |
|
 |
실 험 명 |
- 행복도시 1-5생활권 H5주상복합 신축공사 실시설계 용역
|
실험기간 |
|
실험목적 |
- 총 2개동의 공동주택 건축물의 풍하중 실험을 통한 풍하중 및 진동변위 성능검증을 목표로함
|
사용장비 |
- 풍동유로, DC송풍기, 턴테이블, 풍속계(피토), 5분력계
|
실험방법 |
- 풍하중 및 진동변위 성능 검증을 위해 상사조건을 만족시킨 상태에서 0-360도 풍향각에 대해 10도 간격으로 총 35개의 풍향각에 대해 풍하중 실험을 수행함
|
|
|
 |
|
 |
실 험 명 |
|
실험기간 |
|
실험목적 |
- 마찰전기로부터 전력을 생산하여 무선 센서에 공급할 수 있는 초소형 발전기를 개발’하는데 최종 목표
|
사용장비 |
- 소형풍동, , 전압측정장치(34410A), 풍속계(FCO560), 고속카메라(POINT GREY사 Grasshopper), 후처리 프로그램(NI Vision)
|
실험방법 |
- 실험진행
- 풍속 및 연결 저항에 따른 전압과 전력 측정
- 소형 발전기의 시동풍속 확인
|
|
|
 |
|
 |
실 험 명 |
|
실험기간 |
|
실험목적 |
|
사용장비 |
- 풍동유로, DC송풍기, 풍속계, 드론 안전고리
|
실험방법 |
- 저항풍속
- 풍속 10m/s ~ 14m/s 단계별 무인항공기(드론) 조종 운영을 통한 내풍성 테스트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