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건설·교통 관련콘텐츠 > 미국 최고의 도시 계획 '시카고플랜'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도시, 시카고는 1871년 10월 8일 발생한 대화재 이후 도시계획에 따른 성공적인 도시 재건을 통해 새롭게 태어나 지금의 명성을 갖게 되었다. 현재까지 세계 500대 기업 중 모토로라, 유나이티드 항공, 맥도날드, 시어스 등 34개 본사가 시카고에 둥지를 틀었으며, 편리한 교통과 아름다운 도시 미관, 잘 갖춰진 시설 등으로 인해 각종 회의와 전시회가 끊이지 않는 전시 컨벤션 도시로 이름을 떨치고 있다. 이를 가능하게 일등 공신은 바로 '시카고 플랜'이다. 미국 중부 북쪽 미시간호의 남서쪽에 자리한 미국 제3의 도시, 시카고를 만들어낸 수준 높은 도시계획 '시카고플랜'의 모든 것을 알아보도록 하자.
시카고는 건물 1만 8천동이 불에 타 300명이 숨지고 9만 명의 이재민이 발생하는 사고를 겪었다. 이로 인해 워터 타워(Water Tower)를 빼곤 도시의 모든 건축물이 불에 타 없어졌다고 할 정도로 시카고는 많은 것을 잃었다. 상처 입은 시카고를 지키기 위해 세계적인 건축가들이 모여 1909년 '시카고 플랜'을 발표하였다. 시카고 플랜은 행정구역 내 목조건물 건축을 금지하고 1950년 중반부터 시작된 건설 붐을 타고 고밀도의 상업지구를 새로이 형성하기 시작했다. 이처럼 철저한 계획 아래 만들어진 독특한 건축물들이 시카고의 아름다운 스카이라인을 이루었고 현재와 같이 고층 건물의 살아있는 박물관으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시카고플랜을 진두지휘한 도시계획가인 '다니엘 번햄'은 사람과 동물, 자연이 공존하는 공간을 꿈꿔왔다. 그의 가치관이 반영된 듯, 시카고플랜은 수변 공간 계획, 도시 전역에 걸친 공원 및 녹지 공간 조성 등 당대 도시계획엔 도입된 적이 없는 새로운 아이디어가 가득하다. 아름다움과 편리함, 경제성을 잘 조화시켜 시민 전체의 복리와 효율성을 높이자는 게 핵심인 그의 플랜에는 교통체계 정비 및 확장, 공원 및 수변지역 개선 등을 주요 내용으로 담겨있다. 시카고시는 계획에 앞서 시카고 및 주변 지역에 대한 종합적인 검토를 거쳐 급격히 증가하는 인구가 도시자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이 결과를 토대로 교통, 산업, 상업 네트워크의 통합적 효율성을 높일 수 있었다. 문화적, 물리적으로 매력 있는 도시를 창출한 희대의 계획 '시카고 플랜'은 지금도 도시계획 및 공공건축물의 표준으로 자리 잡고 있다.
시카고 플랜은 일반도로(ordinary street), 주택 및 상점과 연결되는 도로대로(avenue), 교통량이 많은 대로광로(boulevard), 차도와 인도 사이에 좁은 공원이 있는 광로 등으로 도로 단계를 나눴다. 또한 도로의 폭과 포장재의 종류까지 구체적으로 명시했다. 시카고의 가로망 체계는 이후 미국의 모든 주요 도시에 적용되었으며 도시 간 고속도로 건설, 기존 도로의 확장 및 직선화, 철도망 재편 등의 교통 개선에 기여했다.
또한 시카고시는 시카고 플랜을 통해 미시간호를 적극 활용하고 모든 호수변(beach)을 공적 자원화했다. 즉, 미시간호를 따라 호반도로를 건설하고, 일부 호수변을 메워 호수변을 직선화했으며 해수욕장과 위락지구도 조성했다. 호수변에 심을 나무의 형태와 색깔, 단풍 종류, 꽃의 개화시기까지 고려했다. 심지어 시카고는 공원에 식재된 나무들을 일직선으로 정렬시킬 정도로 세심한 계획을 실행했다. 한편, 시카고의 유명한 공원인 메모리얼 파크의 경우 대기업의 후원을 받아 공원을 조성했다. 이를 기념해 보잉스퀘어, 체이스스퀘어 등 후원 기업의 이름을 딴 광장을 만들기도 했다.
2009년, 시카고는 도시의 급격한 성장과 인구 집중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 중심 지역의 고용 증대와 투자 유도를 위해 시카고 도심 중장기 계획(Chicago Central Area Plan)을 수립하기도 했다. 이 계획에는 도심 경제 활성화, 대중 교통체계 향상, 공원 녹지공간 확장, 수변 공간 형성, 새로운 복합 용도 시설 확충 등의 내용이 담겨있다.
이 내용을 기반으로 시카고는 지역 철도망 및 미드웨이, 오헤어 공항 등 교통망 구축을 앞세워 글로벌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한편, 효율적인 물류시스템 구축을 통해 미 북부 지역 경제에서 시카고 대도시권의 위상을 강화했다. 특히 시/주/정부별 민간자본 투자 계획을 세우고 CAAP와 상위 계획 및 관련 계획과의 정합성 유지에 많은 신경을 썼다. 또한, 시카고는 도심의 대중교통 개선을 위해 지역 대중교통의 용량을 확대하고 보행환경을 크게 개선했다. 도심 교통체계 관리, 대안적 교통수단의 활성화 등에도 많은 투자를 했다.
뿐만 아니라, 공원, 보도, 수변공간 등을 시민, 직장인, 학생, 관광객 모두를 위한 공간으로 개선하기 위해 최신 친환경 및 녹색 건축 기술을 적용했다. 특히 시카고를 지속가능한 도시로 만들기 위해 호수변을 시카고의 상징적 공공 공간으로 조성하고 미래 세대를 위한 도심공원 조성에 투자를 아끼지 않았다. 특히, 이들 도심공원의 핵심 키워드는 안전과 친환경이라 할 수 있다. 벤치 하나에도 디자인과 건강을 함께 고려했고 공원이나 호수변엔 어김없이 자전거를 탄 경찰을 찾아볼 수 있을 정도로 치안에도 신경을 쓰는 것이 바로 저 이유 때문이다.
1969년에 완공된 존 핸콕 타워는 당시 기술로는 굉장한 높이였던 100층 높이의 건물이자 시카고에서는 가장 높은 건물이다. (완공 시에는 미국에서 두 번째로 높았다.) 건물에는 29개 층의 업무용 사무실, 레스토랑, 호텔 등과 함께 700여 채의 주거용 아파트 49개 층이 있는 주상복합 건물이며 주거용 건물로는 세계에서 가장 높다. 'Big John'이라는 별명을 가진 이 존 핸콕 타워는 시카고의 패션피플이 모이는 대표적 쇼핑거리, '매그니피션트 마일(Magnificent Mile)'의 상징이기도 하다. 44층에는 미국에서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 실내 수영장이 있으며 타워 95층에는 시카고의 반짝이는 야경과 미시간 호수를 한 눈에 볼 수 있는 전망대와 레스토랑이 있어 환상적인 시카고의 스카이라인을 눈에 담을 수 있다. 특히나 사다리꼴의 독특한 모양을 한 존 핸콕센터는 최고의 시카고 야경을 선사한다는 이유로 시카고인들에게 가장 인기 있는 건물이며 '빅 존(Bib John)'이라는 애칭으로 불린다. 건물의 외관에서 찾아볼 수 있는 X자 모양은 X-브레이싱 건축기법으로 그 당시의 혁신 기술이 사용된 것이다.
 
마리나시티는 시카고강변에 독특한 외형으로 주목받고 있는 60층 규모의 원통형 쌍둥이 주상복합 건물이다. 1964년 버트랜드 골드버그(Bertrand Goldberg)의 설계로 건축된 이 건물은 옥수수 모양을 닮은 독특한 외형 때문에 일반적으로 '옥수수 속대(Corn cops)'라고 불린다. 마리나시티는 현재 세계에서 가장 높은 콘크리트 건물이자 혁신적인 디자인으로 현대 도시 건축의 중심적인 건물이며 시카고를 대표하는 랜드마크 중 하나다.
'마리나시티'라는 이름은 한 건물 안에 아파트와 사무실, 은행, 스포츠 시설, 극장, 쇼핑센터, 식당, 주차장 등이 모두 갖추어져 있는 복합 건물이기 때문에 마치 작은 마을과 같다는 의미로 '도시 속의 도시'라는 의미에서 지어지게 된 것이다. 1~19층까지는 주차장이고 20층은 세탁소와 파노라마식의 전망장소가 있으며 21층부터 60층까지 사무실과 아파트가 있다. 또한 지하에는 다양한 상업 시설들이 들어서 있고 건물 앞 강변에는 보트 승강장이 있다. 건축 당시에는 임대 아파트였으나 1977년에 개인 소유로 전환되었다.
 
밀레니엄 파크는 시카고의 빼어난 건축물들과 어울리게 현대적인 디자인을 갖춘 공원으로, 2004년에 완공되었으며 무려 9만 9,000㎡ 넓이의 부지에는 세계적인 예술가들의 작품이 전시되어 있다. 이 공원은 다양한 건축물과 기념비적 조각 작품, 조경 디자인 등이 99,000㎡에 조화롭게 구성되어 있으며 이 때문에 시카고(Chicago) 역사상 최고의 성과 중의 하나로 인정받고 있다. 밀레니엄파크의 하이라이트는 거대한 콩 모양의 조형물인 클라우드게이트(Cloud Gate)이다. 시카고에서 가장 인기 있는 조형물로 꼽히는 이 클라우드게이트는 밖에서 봐도 흥미롭지만 그 안으로 들어가면 일그러진 거울처럼 사람들의 모습을 재미있게 비춰주는 등 매우 독특한 매력을 가지고 있다. 또한, 크라운 분수(Crown Fountain) 또한 시카고의 랜드마크 중 하나로, 천 명의 시카고 시민의 다양한 얼굴이 디지털 사이니지를 통해 나타난다.
오늘의 시카고를 있게 한 '시카고 플랜'은 아름다움과 편리함, 경제성을 잘 조화시켜 시민 전체의 복리와 효율성을 극대화한 최고의 도시 계획이다. 독특하면서도 아름다운 모습의 초고층빌딩들이 서로 경쟁하듯 자태를 뽐내며 숲을 이루고 있지만 비슷한 건축물은 찾아볼 수가 없을 정도로 계획적인 건설 아이디어는 수십년이 지난 지금도 전 세계인들을 감동시키고 있다. 우리나라에도 이처럼 차가운 머리와 따뜻한 가슴으로 설계한 근사한 도시 플랜이 하루 빨리 실현되기를 바란다.